<KR>
심원하고 풍부한 우리말의 세계
언어의 한계는 세계의 한계다.
우리말을 아는 만큼 나의 세계도 넓어진다.
언어는 힘이 세다. 언어는 단순히 생각을 주고받는 도구로서의 기능을 넘어 한 민족의 문화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말을 잘 지키고 사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말은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고, 최근에는 외래어나 신조어 등의 과도한 사용으로 점점 그 자리를 잃어가고 있어 안타깝다.
이에 잘 몰랐던 우리말을 다시금 살펴보는 동시에, 우리말에 애정을 가지고 공부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이 책을 펴냈다. 정감 넘치고 쓸모 있는 우리말 328개를 날씨·음식·품성·생김새 등 14개의 범주로 나눠 세심하게 톺아냈다. 단순히 사전적 정의로 딱딱하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작품의 사례를 통해 우리말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일상에서 글을 쓰거나 대화를 할 때 이 책에 실린 우리말을 적재적소에 활용해보자. 단어의 뜻을 제대로 알고 적확한 곳에 사용하면, 나의 말과 글이 더욱 특별해진다. 매일 조금씩 이 책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어휘의 폭과 깊이가 늘어 한층 풍요로운 언어생활이 가능해질 수 있다.
<ENG>
the profound and rich world of Korean language
The limit of language is the limit of the world.
As much as I know Korean, my world expands.
Language is powerful.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language is more than just a tool for exchanging thoughts and contains the culture of a nation. Therefore, efforts must be made to keep and use the Korean language well. However, it is unfortunate that Chinese characters occupy a high propor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in recent years, due to excessive use of foreign and new words, they are gradually losing their place.
This book was published to re-examine the Korean language, which I did not know well, and to help those who study it with affection. The 328 friendly and useful Korean words were carefully divided into 14 categories, including weather, food, character, and fresh kimchi. It helps to understand the Korean language easily through examples of literary works, not just by explaining it firmly in a dictionary definition.
When writing or talking in everyday life, let's use the Korean language in this book in the right place. If you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d properly and use it in the right place, your words and writings will become more special. If you follow this book little by little every day, your vocabulary will increase and you will be able to live a richer language life.
<FR>
le monde profond et riche de la langue coréenne
La limite de la langue est la limite du monde.
Même si je connais le coréen, mon monde s'agrandit.
Le langage est puissant. Cela est dû au fait que la langue est plus qu'un simple outil d'échange de pensées et qu'elle contient la culture d'une nation. Par conséquent, il faut s'efforcer de bien conserver et d'utiliser la langue coréenne. Toutefois, il est regrettable que les caractères chinois occupent une forte proportion de la langue coréenne et, ces dernières années, en raison de l'usage excessif de mots étrangers et nouveaux, ils perdent progressivement leur place.
Ce livre a été publié pour réexaminer la langue coréenne, que je ne connaissais pas bien, et pour aider ceux qui l'étudient avec affection. Les 328 mots coréens amicaux et utiles ont été soigneusement divisés en 14 catégories, dont la météo, la nourriture, le caractère et le kimchi frais. Il aide à comprendre facilement la langue coréenne grâce à des exemples d'œuvres littéraires, pas seulement en l'expliquant fermement dans une définition du dictionnaire.
Lorsque vous écrivez ou parlez dans la vie de tous les jours, utilisons la langue coréenne dans ce livre au bon endroit. Si vous comprenez bien le sens du mot et que vous l'utilisez au bon endroit, vos mots et vos écrits deviendront plus spéciaux. Si vous suivez ce livre peu à peu chaque jour, votre vocabulaire augmentera et vous pourrez vivre une vie linguistique plus riche.
목차
1장. 날씨, 풍경과 관계된 말
갓밝이, 상고대 / 구름발치 / 까치놀 / 꽃보라 / 는개, 먼지잼, 비거스렁이 / 돋을볕 / 물비늘, 윤슬 / 볕뉘 / 소소리바람 / 여우볕, 여우비, 호랑이 장가 / 이내 / 휘영청
2장. 음식, 식욕과 관계된 말
감투밥 / 구뜰하다 / 군입, 군입정 / 꾸미, 고명 / 달보드레하다 / 대궁 / 도르리, 추렴 / 맛맛으로 / 머드러기, 처질거리 / 버무리 / 버캐 / 번가루 / 보늬, 꺼풀 / 자밤 / 저냐 / 토렴
3장. 심정, 기억을 나타낸 말
감치다, 감돌다 / 거우다 / 게염 / 도스르다, 벼리다 / 두남두다, 두남받다 / 띠앗 / 맞갖다 / 미쁘다, 미덥다 / 비쌔다, 비쌔구 저쌔다 / 서머하다 / 섟 / 속바람, 속사람 / 시틋하다 / 애오라지 / 앵하다 / 우릿하다 / 자닝하다 / 잔생이 / 잘코사니 / 지청구 / 찹찹하다 / 풀치다, 풀쳐생각
4장. 성질, 품성과 관련된 말
가살궂다, 가살쟁이 / 감때사납다, 감사납다, 오불꼬불 / 감바리 / 곰바지런하다, 바지런하다 / 곰살갑다, 곰살궂다, 살갑다 / 그악스럽다, 그악하다 / 냉갈령, 따끔령/ 너울가지 / 늘품 / 들때밑 / 떠세 / 말재기 / 몽니, 행짜, 용골때질 / 무람없다 / 물렁팥죽 / 반지빠르다 / 방망이꾼, 불땔꾼 / 불퉁가지 / 빠꼼이 / 샘바르다 / 슬금하다 / 슬기주머니, 호주머니 / 신청부 / 아기똥하다 / 악지 / 안다니 / 억척보두, 억척스럽다 / 왜장질, 왜장치다 / 치룽구니
5장. 인체, 외모와 관련된 말
감쳐물다 / 거스러미 / 결곡하다, 해사하다 / 또리방하다, 똘망똘망하다 / 뚜렛뚜렛, 뚜리뚜리 / 마늘각시, 우렁각시 / 매무새, 매무시, 맵시 / 미주알, 밑두리콧두리 / 방시레, 빵시레 / 버커리 / 아삼삼하다 / 암팡지다, 옴팡지다 / 오금, 자개미 / 옴니암니 / 틀거지 / 허우대, 허울, 왜골 / 활개
6장. 움직임, 행위를 나타낸 말
가로새다 / 가무리다, 가뭇없다 / 겨끔내기, 갈마들이 / 겯고틀다 / 괘장 부리다 / 깨금발, 앙감발 / 꾀꾀로, 구메구메 / 넉장거리 / 대지르다 / 도닐다 / 도섭부리다 / 동곳을 빼다 / 되술래잡다 / 되작거리다, 되작되작 / 둥개질 / 모기작모기작 / 물덤벙술덤벙 / 뭇방치기 / 발서슴하다 / 베돌다 / 붓방아 / 비설거지, 눈설거지 / 뽀로로, 뽀르르 / 서털구털 / 애만지다 / 애면글면 / 야비다리 치다 / 엉너리, 얼렁뚱땅 / 잡도리 / 적바림 / 진대 / 행티 / 흑책질
7장. 말, 입으로 하는 걸 나타낸 말
개코쥐코 / 곁말 / 고시랑거리다, 구시렁거리다 / 귀둥대둥, 되숭대숭 / 너스레, 흥감 / 들떼놓고 / 마구발방 / 마기말로 / 말곁, 곁귀 / 말전주/ 산소리 / 생청/ 선웃음 / 신소리, 흰소리 / 쏘삭이다 / 양냥거리다, 양냥양냥 / 초들다/ 콩팔칠팔
8장. 상태를 나타낸 말
가멸다 / 갈무리 / 곡두 / 꽃잠, 선잠/ 날탕 / 낭창거리다, 낭창하다 / 너나들이 / 노박이로 / 둥개다 / 드리없다 / 매지매지 / 모지라지다 / 물초 / 민틋하다 / 벅벅이 / 설면하다 / 안다미로 / 온새미로 / 오롯하다/ 켯속 / 함초롬하다 / 흔전만전/ 흙감태기 / 흥뚱항뚱
9장. 생김새, 모양을 나타낸 말
거듬거듬, 주섬주섬 / 곰비임비, 시나브로 / 물마루, 산마루 / 버슬버슬 / 보암보암 / 송아리 / 얄랑거리다 / 언틀먼틀 / 왁실덕실 / 자울자울 / 짜발량이 / 치런치런, 치렁치렁 / 코숭이 / 콩켸팥켸 / 퍼르퍼르
10장. 냄새와 소리를 나타낸 말
내음, 냄새 / 몰큰몰큰, 물큰물큰 / 배리다, 배릿하다, 비린내 / 새물내, 자릿내, 진솔 / 쾨쾨하다 / 고래고래, 악다구니 / 도란도란 / 부걱부걱 / 새되다, 새청맞다 / 서붓, 사풋 / 얄라차 / 자그락거리다, 자그락대다 / 자냥스럽다 / 지걱거리다 / 푸릉푸릉, 호르르
11장. 곳, 자리
고샅/ 길섶 / 도린곁 / 도래솔/ 모꼬지, 모임/ 물꼬 / 살피, 갈피 / 어름 / 여울 / 이물, 고물 / 자드락길, 오솔길
12장. 시간, 거리를 나타낸 말
겨를, 틈 / 나절 / 낮곁 / 느루 / 달포, 해포/ 말미 / 한뉘 / 한물 / 해뜰참, 해거름
13장. 물체를 나타낸 말
고갱이 / 꽃다지, 맏물, 끝물 / 꽃다짐 / 무녀리 / 미리내 / 버림치 / 보시기 / 아람 / 자리끼 / 지스러기 / 허드레 / 희나리
14장. 그밖에 알아두어야 할 우리말
구멍수 / 길라잡이 / 깜냥 / 꽃등 / 드레, 드레질 / 비각 / 비나리 / 앵두장수 / 여리꾼 / 여투다 / 죽살이 / 천둥벌거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