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
오백 년 조선 사람들의 여행기를 생생하게 복원하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일반 대중과 역사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펴낸 「규장각 교양총서」 제7권 『조선 사람의 조선여행』. 《조선 사람의 세계여행》과《세상 사람의 조선여행》에 뒤를 이어 여행을 주제로 조선의 역사를 살펴본 세 번째 책이다. 이번 책에서는 별자리 여행에서부터 온천여행과 득음을 위한 여정까지 오백 년 조선 사람들의 여행기를 담고 있다. 본문은 크게 열세 가지 주제를 나누어 다양한 범주의 여행을 이야기한다. 발로 직접 뛰거나 걷지는 않았지만 그림과 글로 간접 여행하는 ‘와유’, 죄를 얻어 가족과 직업에서 벗어나 먼 곳에 처해졌던 ‘유배’, 지방 행정을 정찰하러 가는 ‘암행어사 길’, 고단한 장돌뱅이 장사꾼의 ‘장사여행 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우리 땅을 돌아다닌 조선인들의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우리 강산을 누비며 길 위에서 진정한 삶을 펼쳤던 조선인들의 여행기를 통해 과거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고 여행이 펼쳐진 시대의 역사를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조선인이 주체가 되어 우리 땅을 돌아본 기록을 담은 책이다. 즐거운 마음으로 다른 고장을 돌아보는 일상적 여행뿐만 아니라, 누워서 노니는 여행인 ‘와유’를 비롯하여 관직 생활이 펼쳐졌던 길을 따라가는 ‘암행어사 길’, ‘유배길’ 그리고 19세기 말 이후의 ‘백두산 여행’, 일제강점기의 ‘수학여행’ 등을 그리고 있다. 또한 소설가 박태원의《소설가 구보씨의 경성 나들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도시화의 모습과 도시생활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ENG>
Bring back the 500-year-old travelogue of the Joseon people to life!
Volume 7 of the Kyujanggak Cultural Book published by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o share historical knowledge with the general public, "Joseon People's Journey to Joseon." Following the "Joseon People's World Travel" and "The World's Journey to Joseon," this is the third book to examine the history of Joseon under the theme of travel. This book contains 500 years of travel by the people of Joseon, from travel in constellations to travel in hot springs and for learning. The text talks about various categories of travel, largely dividing into 13 themes. You can see the stories of Koreans who have traveled around our lan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Wayu," who did not run or walk directly with his feet but traveled indirectly through painting and writing, "Yeway," who was imprisoned and placed far away from his family and profession, "The Amhaeng Eosa Path," which goes to scout local administration, and "The Business Travel Path" of a hard-working Jang Dol-bang merchant. Through the travel stories of Koreans who lived their true lives on the road while traveling on the riversid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lives of people in the past and look back on the history of the era when the travel unfolded.
It is a book that contains records of Koreans taking the lead and looking back on our land. In addition to daily trips to other villages with joy, he depicts "Wayu," a trip to lie down, "The Amhaengeosa Temple Road," "Yubae-gil," "Baekdu Mountain Travel" after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School Trip" in Japanese colonial era. In addition, novelist Park Tae-won's "Narrator Gubo's Gyeongseong Outing" offers a glimpse of urbanization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aspects of urban life.
<FR>
Ramenez à la vie le journal de voyage vieux de 500 ans du peuple Joseon !
Le volume 7 du livre culturel Kyujanggak publié par l'Institut d'études coréennes Kyujanggak pour partager les connaissances historiques avec le grand public, « Le voyage du peuple à Joseon ». À la suite du « voyage dans le monde » et du « voyage dans le monde à Joseon », c'est le troisième livre à examiner l'histoire de Joseon sous le thème du voyage. Ce livre contient 500 ans de voyage du peuple de Joseon, depuis les voyages en constellations jusqu'aux voyages en sources chaudes et pour l'apprentissage. Le texte parle de diverses catégories de voyages, qui se divisent en 13 thèmes. On peut voir les histoires de Coréens qui ont voyagé autour de nos terres à diverses fins, comme "Wayu", qui n'a pas couru ou marché directement avec ses pieds, mais a voyagé indirectement en peignant et en écrivant "Yeway", emprisonné et placé loin de sa famille et de sa profession, "The Amhaeng Eosa Path," qui va à l'administration locale scout, et "The Business Travel Path" d'un marchand de Jang Dol-bang qui travaille dur. À travers les récits de voyage des Coréens qui ont vécu leur vraie vie sur la route en voyageant au bord de la rivière, ce sera l'occasion de comprendre la vie des gens dans le passé et de revenir sur l'histoire de l'époque où le voyage s'est déroulé.
C'est un livre qui contient des enregistrements de Coréens qui prennent la tête et regardent en arrière sur nos terres. En plus des voyages quotidiens dans d'autres villages avec joie, il représente « Wayu », un voyage pour s'allonger, « The Amhaengeosa Temple Road », « Yubae-gil », « Baekdu Mountain Travel » après la fin du XIXe siècle, et « School Trip » à l'époque coloniale japonaise. De plus, la sortie Gyeongseong du romancier Park Tae-won offre un aperçu de l'urbanisation à l'époque coloniale japonaise et des aspects de la vie urbaine.
목차
규장각 교양총서를 발간하며
머리글 _ 즐거움의 지혜를 얻는, 조선으로의 시간여행
1장 누워서 떠나는 여행의 즐거움
옛사람들이 남긴 와유의 기록들 | 이종묵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2장 정치적 시험의 장이 된 왕세자의 온천여행
조선 왕가의 치병기 | 김호 경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
3장 별자리를 좇아서 거닌 옛사람들의 시, 노래, 과학
조선 사람의 밤하늘 여행 | 전용훈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4장 깊은 규방에서 나와 신천지를 마주하다
조선 여성들의 산수유람 | 이숙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원
5장 “목에서 피가 나고 배가 붓던” 여행길
명인 명창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송지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6장 붓 한 자루 쥐고 거대한 자연과 마주하다
금강산 여행, 화폭에 담기다 | 박은순 덕성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7장 서른네 살, 12년의 고행 끝에 본 가문의 영광
영남 양반 노상추가 떠난 과거길 | 정호훈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8장 착잡한 고통과 짜릿한 쾌락이 엇갈린 길
1822년 평안남도 암행어사 박내겸의 암행길 | 오수창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9장 감시 속에서 즐긴 유배인의 여행길
이문건의 유배길과 해인사 유람 | 김경숙 조선대 사학과 교수
10장 돌고 돌았던 순회상인의 길 위에 펼쳐진 삶
장돌림과 장삿길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조영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11장 머리에 천지를 이고 몸에 천하를 두르다
최남선의 『백두산근참기』를 따라가다 | 윤대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12장 흥분과 기대가 의분과 비통함이 된 까닭
일제강점기에 떠난 수학여행 | 윤소영 독립기념과 연구원
13장 소설가 구보씨의 행복 찾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1930년대 서울 | 서재길 국민대 국문과 교수
참고문헌 및 더 읽어볼 책들
지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