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건국전쟁' 각본집 Movie 'The Birth of Korea' Script Book
ISBN 9791190847551
Language Korean
N. of Pages 320쪽
Size/Weight 152 * 210 * 24 mm / 657 g
Author/Editor 김덕영
Publisher 투나미스
Date of Publication 2024년 03월 31일
Country of Origin Korea
ISBN 9791190847551
Language Korean
N. of Pages 320쪽
Size/Weight 152 * 210 * 24 mm / 657 g
Author/Editor 김덕영
Publisher 투나미스
Date of Publication 2024년 03월 31일
Country of Origin Korea
ISBN 9791190847551
Language Korean
N. of Pages 320쪽
Size/Weight 152 * 210 * 24 mm / 657 g
Author/Editor 김덕영
Publisher 투나미스
Date of Publication 2024년 03월 31일
Country of Origin Korea
<KR>
100만 관객 돌파, 역대 다큐 4위
활자를 곱씹으며 다시 느끼는 다큐멘터리의 감동
1949년 농지개혁을 비롯하여,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과정과 여성 인권 정책, 그리고 원자력 발전의 초석을 닦은 이승만 대통령의 다양한 업적이 오늘날 대한민국의 경제발전과 평화에 기여한 과정과 ‘이승만 지우기’ 선동이 낳은 결과를 상세히 파헤친다.
저자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현대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도 다루는데, 이를테면 김구 주석이 한국전쟁을 미리 알고 있었다는 주장과 아울러, 대한민국 건국 과정에서 그가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김덕영 감독은 “한강의 기적과 오늘날의 경제적 번영은 이승만 대통령이 놓은 토대 위에서 가능했다”고 강조하며, “이 책을 통해 이승만 대통령과 그 시대를 둘러싼 잘못된 정보와 편견에 도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건국전쟁 오리지널 각본집』은 단순한 다큐멘터리 시나리오를 넘어, 대한민국 건국의 복잡다단한 과정과 이때 나타난 리더십과 정치적 결단, 그리고 개인의 희생을 조명함으로써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ENG>
1 million viewers, 4th place in documentary history
The impression of the documentary that feels again while reflecting on the type
The process of signing the Korea-U.S. mutual defense treaty, women's human rights policy, and President Syngman Rhee's various achievements that laid the foundation for nuclear power generation, including land reform in 1949, contributed to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peace of Korea today, and the consequences of the "elimination of transfer only" agitation.
The author also deals with people who have left a great mark on modern history,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such as the claim that President Kim Gu knew the Korean War in advance, and also offers a new perspective on his influence in the process of founding the Republic of Korea.
Director Kim Deok-young emphasized,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and today's economic prosperity were possible on the foundation laid by President Syngman Rhee," and said, "Through this book, we want to challenge the misinformation and prejudice surrounding President Syngman Rhee and his time."
Beyond simple documentary scenarios, "The Founding War Original Memorandum" will be a very important clue to understanding today's Republic of Korea by shedding light on the complex process of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leadership, political decisions, and individual sacrifices.
<FR>
1 million de téléspectateurs, 4e place dans l'histoire du documentaire
L'impression du documentaire qui se sent à nouveau tout en réfléchissant au type de documentaire.
Le processus de signature du traité de défense mutuelle Corée-États-Unis, la politique des droits de la femme et les diverses réalisations du président Syngman Rhee qui ont jeté les bases de la production d'énergie nucléaire, y compris la réforme foncière en 1949, ont contribué au développement économique et à la paix de la Corée. et les conséquences de l'agitation "élimination du transfert seulement".
L'auteur traite également de personnes qui ont laissé une grande marque dans l'histoire moderne, qu'elle soit positive ou négative, comme l'affirmation selon laquelle le Président Kim Gu connaissait la guerre de Corée à l'avance, et offre une nouvelle perspective sur son influence dans le processus de fondation de la République de Corée.
Le directeur Kim Deok-young a souligné que « le miracle de la rivière Han et la prospérité économique d'aujourd'hui étaient possibles sur les bases posées par le président Syngman Rhee », et a déclaré : « À travers ce livre, nous voulons contester la désinformation et les préjugés entourant le président Syngman Rhee et son époque.
Au-delà de simples scénarios documentaires, « The Founding War Original Memorandum » sera un indice très important pour comprendre la République de Corée d'aujourd'hui en faisant la lumière sur le processus complexe de la fondation de la République de Corée, son leadership, ses décisions politiques et ses sacrifices individuels.
목차
01. 오프닝
02. 거짓 이데올로기
03. 이승만 죽이기
04. 망명인가? 추방인가?
05. 필리핀과 대한민국의 운명을 가른 토지개혁
06. 필리핀 토지개혁은 왜 실패했나?
07. 한성감옥에서 사가모어 힐까지
08. 우드로 윌슨, 민족자결주의
09. 하와이에서 이승만 지우기
10. 이승만의 하와이 교육 사업
11. 왜 외교노선인가?
12. 상해 임시정부와의 대립
13. 1945년 해방과 좌우익의 대립
14. 북한의 공산화
15. 박헌영의 좌익 폭동
16. 우리 역사 최초의 자유선거, 5·10총선
17. 대한민국 건국
18. 대한민국 승인 외교
19. 민족의 비극, 한국전쟁
20. 전쟁 중에도 계속되는 ‘이승만 죽이기’ 선전ㆍ선동
21. 반공포로 석방
22. 한미상호방위조약
23. 이승만의 위대한 승리
24. 이승만의 마지막 순간
25. 에필로그
발행인의 글
접기
